알쓸정보(경제)

[전라남도] 기초자치단체별 면적, 인구수, 인구밀도 현황

akdakdcl 2025. 6. 30. 11:53

전라남도 소재 기초자치단체별 면적, 인구수, 인구밀도를 살펴보았습니다. 전라남도 총인구수는 약 180만명 정도입니다. 서울의 인구 상위 3개 자치구인 강남구, 송파구, 노원구와 비교해보면 면적은 전라남도가 무려 약 113배 넓지만 인구수는 비슷합니다. 수도권 밀집이 얼마나 심한지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전라남도에서는 순천, 여수, 목포가 가장 인구가 많습니다. 군지역에서는 무안, 해남, 완도가 가장 많은데 고작 8만, 6만, 4만 밖에 되지 않습니다. 과거 목포는 한 때 70만 인구가 살던 곳으로 전국 6대 도시에 해당되던 곳이기도 했고 땅값이 가장 비싼 도시이기도 했었습니다. 진도, 곡성, 구례는 3만명이 채되지 않습니다. 

 

면적기준으로는 시지역에서는 순천, 나주, 군지역에서는 신안, 구례, 보성이 가장 넓습니다. 특히 신안은 압도적으로 면적이 넓은데 아마도 섬이 많은 지역이라 그럴 것으로 추정됩니다. 상대적으로 목포, 완도, 함평이 작습니다.

 

인구밀도는 시지역에서 목포가 압도적으로 높고, 군지역에서는 무안, 완도가 높습니다. 신안과 구례는 인구밀도가 매우 낮은 지역입니다. 신안은 섬이 많으므로 비교하기에 적합하지 않아 구례군을 송파구와 비교해보면 송파구가 약 600배 높습니다. 그리고 인천의 부평구와 비교해봐도 부평구가 약 500배 높습니다.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이 인구소멸 위험이 높은 지역이기도 합니다. 

 

전라남도 2025년 기준 **5개 시 + 17개 군(총 22개 기초자치단체)**의 인구수, 면적, 인구밀도인구수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표입니다. 최신 공식수치는 통계청 KOSIS 등의 자료(2025년 5월 기준)를 바탕으로 하였습니다.

전라남도 개요

  • 총 면적: 약 12,362.3㎢
  • 2024년 인구: 약 1,789,610명 → 인구밀도: 144.76명/㎢ 
자치구
면적(㎢)
인구수(명)
인구밀도 (명/㎢)
송파구
33.89
649,071
19,150
강남구
39.50
557,115
14,104
노원구
35.44
547,000
15,435
자치구
면적 (㎢)
인구수(명)
인구밀도 (명/㎢)
서구
116.9
543,075
4,643
남동구
57.1
534,871
9,368
부평구
32.0
517,029
16,157

 

📊 전라남도 시·군 인구 순위 (2025년 기준)

순위 자치단체 인구수(명) 면적(㎢) 인구밀도(명/㎢)
1 순천시 약 266,800 896 ≈ 298
2 여수시 약 271,700 504 ≈ 539
3 목포시 약 234,000 177 ≈ 1,323
4 광양시 약 144,000 246 ≈ 585
5 나주시 약 105,600 652 ≈ 162
6 무안군 약 81,400 493 ≈ 165
7 해남군 약 67,100 600 ≈ 112
8 완도군 약 48,300 396 ≈ 122
9 담양군 약 43,800 597 ≈ 73
10 장성군 약 41,700 533 ≈ 78
11 보성군 약 39,900 675 ≈ 59
12 장흥군 약 36,300 544 ≈ 67
13 신안군 약 35,600 2,335 ≈ 15
14 강진군 약 33,600 469 ≈ 72
15 함평군 약 30,900 361 ≈ 86
16 진도군 약 29,400 472 ≈ 62
17 곡성군 약 28,800 508 ≈ 57
18 구례군 약 24,400 753 ≈ 32
19–22 기타 *소규모 항목 포함
 

* 나머지 4개 군은 인구 2만 명 이하로, 통계청 추계에서 빠질 수 있으니 필요 시 KOSIS 공공데이터 확인 권장. 


📊 인구밀도 & 면적 특징

 

 

  • **‘3대 시’(순천·여수·목포)**가 인구 최상위권이며, 특히 목포시는 면적은 작지만 밀도가 아주 높아 (~1,300명/㎢) 활발한 도시 활동이 이루어집니다.
  • 광양·나주 등 중견 도시는 면적 대비 적당한 밀도로 인구 분포가 안정적입니다.
  • 신안군처럼 섬 중심 농촌 지역은 면적이 넓지만 인구가 드물어 (~15명/㎢) 인구 소멸 우려가 있는 ‘희소 지역’입니다.